부동산 공부/광수네 복덕방 공부

광수네 복덕방 10호 "공급" (프롤로그, 망치 생각바꾸기) 요약

따봉아부지 2023. 9. 22. 03:14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따봉아부지입니다.
오랜만에 이광수 대표님의 광수네 복덕방이 올라왔네요.
10호 초반의 프롤로그와 망치 생각 바꾸기의 내용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프롤로그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상승한다.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이 하락한다.
하지만, 공급이 감소하더라도, 수요가 공급보다 더 줄어들면 가격은 하락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급이 상승하면 가격이 하락한다.
수요가 상승하면 가격이 상승한다
하지만 공급이 상승하더라도, 수요가 공급보다 더 상승하면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한번만 더 생각하면 당연한 질문도 당연하지 않다는 것을 알수있다.
 
투자에서 리스크는 손실 가능성이 아닌 불확실성이다.
내가 모르는 일이 발생될 가능성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하고,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주의하자.
 

망치 생각 바꾸기

버블의 역사:
 
신문은 대중들이 관심많은 뉴스를 중점적으로 보도하며 발달했고,
네덜란드의 튤립 열풍은 신문보급 증가로 인한 뉴스확산이 빨라지면서 시작되었다.
 
현대의 유튜브,신문,방송,잡지등 뉴스를 전달하는 매체들은,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 보도를 집중한다.
2017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경제 신문에 보도된 부동산 뉴스 위치는 이렇다.

대중의 주목을 위해 속보, 전문가의 코멘트, 자극적인 멘트로 뉴스를 구성한다.
신문을 포함해 자산시장의 뉴스를 만드는 매체는 한계가 있다.
중요한 것은 뉴스를 받아들이는 우리들이다. 뉴스를 보고 의사판단을 스스로 할줄 알아야한다.
 

1. 현상보다는 원인에 대해 고민하자.

대부분의 뉴스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일에 집중한다.
하지만 내집마련이나 투자를 위해서는 현상보다는 전망이 중요하다.
왜 지금의 현상이 일어났는지 원인을 찾고, 고민하고, 전망을 해보자.
 

2. 숫자를 잘 파악하자.

2021년 10억이었던 아파트가 50% 상승하여 15억이 되었다.
2022년에 15억이었던 아파트가 약 33% 하락하여 10억이 되었다.
2년동안의 상승률은 50% - 33% = 17% 이다.
매매가격은 제자리로 돌아왔지만 상승률은 17%이다. 
뉴스에서 집값이 계속 오른다고 보도된다.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뉴스 매체들은 단기적 통계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오류가 생긴다.
숫자 자체보다는 숫자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가지고 있는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단기보다는 장기변화를 조사하자.
 
숫자로 해석하고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니 연습을 하자.
 

3. 중요한 뉴스를 골라내야한다.

한남동에 위치한 한남더힐이 100억원을 넘었다는 뉴스가 나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의미 없는 뉴스이니 거르자.
스스로에게 중요한 뉴스를 가려내는 연습을 하자.
 

4. 누가 말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뉴스에는 전문가들이 등장한다. 그 전문가가 건설회사와 함께 일하는 전문가라면 공정한 전문가가 아닐수 있다.
뉴스는 정보를 얻는데 가장 쉬운 방법인 만큼, 장점은 얻고 단점은 고민하고 걸러야 한다.
단점을 많이 발견할수록 뉴스로부터 더 많은 도움을 얻게 된다.
단점을 발견하는 연습을 하자.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 좋아요 광고클릭 한번씩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뵐께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