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따봉아부지 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가격의 하락, 상승에 관한 이야기를 적어볼까 합니다.
광수네 복덕방에서 이야기하는 부동산 분석글에서, 주택가격의 하락 현상과 하락률을 비교하는 그래프를 게시하였습니다.
부동산 하락이 크게 나타나던 2022년 11월 전국 부동산 실거래가격이 -1.7%가 하락했습니다. 월간 하락률을 연간으로 환산하면 20% 넘는 하락입니다. 어느지역이 가장 크게 하락했을까요?
가장 먼저 떨어지기 시작한 지역은 세종, 다음은 대구, 경기도, 부산 순 입니다.
하락폭이 가장 큰 세종, 인천 대전 경기의 공통점은 최근 집값 상승률이 높았던 지역이라는 것입니다.
부동산은 많이 오른곳이 많이 떨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주택가격 상승률이 높았던 지역이 현재까지 하락률이 크지않다면,
앞으로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클 수 있습니다.
적응적 기대 : 가격이 오르면 계속 오를 것으로 기대하고,
내리면 향후에도 내릴 것으로 예측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적응적 기대는 가격 상승폭이나, 하락폭을 더욱 키우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모든사람이 적응적 기대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기대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합리적 기대 :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 주어진 모든 정보를 활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것
투자에 있어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합리적 기대"를 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이 오른 지역이 크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외인 지역이 있습니다.
대구는 상승폭이 높지 않았음에도, 하락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아파트 분양물량 증가와 투자수요가 적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인구가 감소한다면, 기존의 인구가 선택할수 있는 주택은 많아지고,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투자 수요가 적다면, 전체적인 부동산 침체기나 하락기가 시작될때, 하락폭이 크게 나타날수 있습니다.
하나의 현상만 보고 성급하게 판단을 내리기 보다는,
모든 정보를 활용해서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해야
한다고 광수네 복덕방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광수네 복덕방 홈페이지
https://www.ksune.co.kr/
'부동산 공부 > 광수네 복덕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수네 복덕방 1호 후반부 요약 " 전세가격의 결정, 전세/매매 비율" (2) | 2023.09.08 |
---|---|
광수네 복덕방 1호 중반부 요약 "투자수요 , 전세가격" (4) | 2023.09.07 |
광수네 복덕방 1호 "망치 생각 바꾸기" (0) | 2023.09.07 |
광수네 복덕방 9호 후반부 요약 "자주 프로젝트" (0) | 2023.09.04 |
광수네 복덕방 9호 중반부 요약 "정책" (2) | 2023.09.04 |